목록전체 글 (44)
Here & Now

◆ 벤더 게슈탈트 검사 (BGT) 1. BGT의 의의 - 1938년 벤더(L. Bender)가 정신병리의 유형과 지각 간의 관계를 연구하기 위한 용도로 고안한 검사이다. - 형태심리학과 정신역동 이론을 기초로 한다. - 형태주의 심리학의 창시자인 베르타이머(Wertheimer)가 형태 지각 실험에 사용한 여러 도형 중 9개를 선별하여 검사도구로 응용하였다. - 투사적 목적은 물론 신경심리적 목적으로 뇌의 기질적 손상이 있는 환자를 진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. 2. BGT의 특징 - 일종의 투사적 검사로, 시각-운동 협응능력 및 시지각 능력을 측정한다. - 기질적 장애를 판별하려는 목적에서 널리 사용한다. - 성격적인 문제 진단 및 정신증, 정신지체 등의 정신병리적 진단, 뇌손상 여부도 탐지할 수 있다..

◆ 문장완성검사 (SCT; Sentence Completion Test) 1. SCT의 개요 - 다수의 미완성 문장을 수검자가 자기 생각대로 완성하도록 하는 검사로 단어연상검사의 변형으로 발전된 것이다. - 갈튼의 자유연상법, 카텔 및 라파포트의 단어연상법, 융의 임상적 연구 등에 영향을 받았다. - 현재 임상에서는 삭스의 문장완성검사(SSCT)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. ※ 단어연상검사 - 1908년 융이 단어빈도사전에 의거하여 최다빈도의 단어 100개의 자극어를 택해 만든 것이다. - 의식적, 무의식적 콤플렉스를 파악하고자 만든 것이다. - 자극어를 듣고 제일 먼저 머리에 떠오르는 단어를 빨리 대답하도록 지시한다. 2. SCT의 특징 - 자유연상을 토대로 하므로 수검자의 내적 갈등이나 욕구, 환상, 주관..

◆ HTP (House-Tree-Person Test ; 집-나무-사람 그림검사) 1. HTP의 특징 - 1948년 벅(Buck)이 개발한 투사적 그림검사, 1958년 햄머(Hammer)에 의해 크게 발전되었다. - 집, 나무, 사람은 누구에게나 친밀한 주제이므로 이 그림을 통해 개인의 무의식을 파악할 수 있다. - 수검자 개인적 발달사와 관련 경험을 투사한다는 점에 기초한다. - HTP는 수검자의 무의식과 관련된 상징을 드러내줌으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. - 모든 연령의 수검자에게 실시 가능하며, 비언어적 방식이므로 문맹자에게도 적합하다. - 수검자는 검사자가 요구하는 바를 알지 못하므로 보다 솔직하고 자유롭게 반응하게 된다. - 집은 가정생활이나 부부관계, 가족 간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며, 특히 아동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