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ere & Now

HTP (집-나무-사람 그림검사) 본문

심리상담/심리검사

HTP (집-나무-사람 그림검사)

두딸맘8002 2020. 11. 18. 15:09

 

◆ HTP (House-Tree-Person Test ; 집-나무-사람 그림검사)

 

1. HTP의 특징

 

- 1948년 (Buck)이 개발한 투사적 그림검사, 1958년 햄머(Hammer)에 의해 크게 발전되었다.

- 집, 나무, 사람은 누구에게나 친밀한 주제이므로 이 그림을 통해 개인의 무의식을 파악할 수 있다.

- 수검자 개인적 발달사와 관련 경험을 투사한다는 점에 기초한다.

- HTP는 수검자의 무의식과 관련된 상징을 드러내줌으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.

- 모든 연령의 수검자에게 실시 가능하며, 비언어적 방식이므로 문맹자에게도 적합하다.

- 수검자는 검사자가 요구하는 바를 알지 못하므로 보다 솔직하고 자유롭게 반응하게 된다.

- 집은 가정생활이나 부부관계, 가족 간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며, 특히 아동기 부모와의 관계를 나타낸다.

- 나무-사람은 대인관계, 타인에 대한 감정 등을 반영, 특히 자신의 신체상 및 자기상을 나타낸다.

- 나무나 사람은 주로 성격의 핵심적인 갈등 및 방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.

- 사람 그림이 보다 의식적인 측면을 반영, 나무 그림은 무의식적인 감정을 반영한다.

- 로샤, 주제통각검사가 제시된 자극에 대해 수검자의 수동적인 반응으로 전개되는 반면, HTP는 수검자가 직접 반응을 구성해가는 능동적인 반응 과정으로 전개된다.

- 개인의 무의식이나 방어기제를 탐색하는 것이 가능하며, 특히 아동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효하다.

 

2. HTP의 시행

 

① 그림 단계

- A4 용지 정도의 백지 4, 연필, 지우개, 초시계를 준비한다.

- 시간 제한은 없으며 그림 그리는데 걸린 시간을 기록한다.

- 검사는 나무 사람순으로 한다. (중성적 자극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자기상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전개)

- 종이의 방향 : 집 그림 그릴 때 용지를 가로로 제시하고, 나무와 사람 그림은 용지를 세로로 제시한다.

- 사람을 그릴 때는 전신을 그리도록 하며, 만화적으로 그리거나 뼈대만 그리지 않도록 한다.

- 검사자는 수검자의 반응을 상세히 기록한다. (모호한 상황에서 수검자가 어떻게 대처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.)

<실시방법>
a. 종이 한 장을 가로로 제시하면서 '집을 그리세요'라고 지시한다.
b. 집을 다 그리면 다른 종이를 세로로 제시하며 '나무를 그리세요.'라고 한다.
c. 나무를 다 그리면 다음 종이를 세로로 제시하며 '사람을 그리세요. 단 사람을 그릴 때 막대 인물상이나 만화처럼 그리지 말고 전체를 그리세요.'라고 한다.
d. 다 그리면 다시 종이를 세로로 제시하며, '그 사람과 반대되는 성을 그리세요.'라고 지시한다.
e. 모두 다 그리고 나면 각각의 그림에 대해 질문을 한다.

 

질문 단계

- 그림이 완성된 경우 수검자에게 그림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하도록 요구하며, 중요한 사항들에 대해 질문한다.

- 질문의 목적은 그림을 통해 표출되는 개인적 의미, 즉 욕구나 갈등, 압박의 투사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.

 

(House)

-누구의 집인가?
-누가 살고 있는가?
-누구와 함께 살고 싶은가?
-이 집의 분위기는 어떤가?
-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?
-나중에 집이 어떻게 될 것 같은가?
-집의 재질은 어떤가?

나무

(Tree)

-나무의 종류는?
-나무의 나이는? 건강은? 소원은?
-나무가 살아있는가, 죽어있는가?
-나무가 큰가, 작은가?
-잎과 가지가 무성한가, 메말랐나?
-나중에 이 나무는 어떻게 될까?
-나무를 그리면서 생각나는 사람은?
-바람이 있는 경우, 바람은 어느 방향에서 불어오는가?
-새가 있는 경우, 새는 누구를 나타내는 것인가?

사람

(Person)

-이 사람은 누구인가?
-이 사람의 나이는?
-이 사람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?
-행복한가, 불행한가?
-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?
-이 사람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?
-이 사람의 기분은?
-이 사람이 입고 있는 옷은 어떤 옷인가?
- 이 사람의 장단점은 무엇인가?

 

HTP의 해석

- 그림에 의해 성격의 여러 면을 밝혀 나가는 것이며 전체적 평가, 형식적 분석, 내용적 분석을 종합하여 해석한다.

 

구조적 해석

검사
소요시간

일반적 소요시간 :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는데 대략 10분 정도

- 과도하게 빨리(2분 이내) 또는 느리게(30분 이상) 그린 경우 수검자의 갈등과 연관된다.
- 오랜 시간 소요되는 경우: 완벽 성향, 강박 성향
- 어려움 호소하는 경우: 낮은 자존감, 우울감

그림의
순서

일반적 순서: (지붕창문), 인물(얼굴다리)

- 일반적 순서와 다르게 그린 경우: 사고장애, 발달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.
- 얼굴 내부를 먼저, 윤곽을 나중에 그린 경우: 평소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음
- 그림을 지우고 새로그린 경우: 열등감이나 가장 성향을 지님

그림의
크기

일반적 크기: 종이 크기의 2/3 정도 사용
자신감이나 자기 자신에 대해 적정 수준의 적절감을 나타낸다.

- 그림을 크게 그린 경우
: 공격성, 과장성, 낙천성, 행동화 성향, 자기 확대에의 욕구
: 조증상태,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(ADHD) 가능성

- 그림을 작게 그린 경우
: 열등감, 불안감, 위축, 낮은 자존감, 의존성 등
: 수줍음으로 인한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감, 억제, 통제

그림의
위치

일반적 위치: 종이 가운데

- 가운데: 적정 수준의 안정감, 모든 연령층에서 나타남. 융통성 부족
- 위: 높은 욕구, 목표달성에 대한 스트레스, 공상 속에서 만족감 추구, 과도한 낙관주의
-
아래: 불안정감과 부적절감 내면화, 우울성향, 실제적인 것을 선호하는 성향
-
왼쪽: 충동적 경향, 외향성 반영, 변화에의 욕구, 즉각적 만족추구
-
오른쪽: 행동 통제를 잘함. 자기 통제적 성향, 내향성, 지적 만족추구
-
구석: 두려움, 위축감, 자신감 결여

그림의

- 직선: 자기주장적인 경향, 단호함, 지나칠경우 경직성, 완고함, 공격성
- 곡선: 의존성, 불안감, 불확실감, 유연성, 순종적인 경향
- 길게 그린 선: 안정성, 결단성, 높은 포부수준, 행동을 적절히 통제, 지나치면 과도하게 통제
- 짧게 그린 선: 충동성, 흥분성
-
수평선: 여성성, 두려움, 소극적, 자기방어적 성향
-
수직선: 남성성, 결단성, 활동적, 자기주장적 성향
- 끊긴 곡선: 의존성, 우유부단함, 복종적 성향
-
선에 음영: 입체적 원근감을 위해 넣은 의도는 적응적인 양상, 대인관계 불안감이나 민감성, 신중함, 심한 경우 불안감, 내적 갈등, 우울함
- 획을 여러 방향으로 바꾸어 그린 경우: 불안정감, 정서적 동요, 불안감
- 선을 빽빽하게 그린 경우: (과도한 경우)내적 긴장감이 높거나 공격적 성향
- 선을 지그재그로 그린 경우: 내면의 적대감
- 선이 연결되지 않게 그린 경우: 현실 접촉의 문제, 정신증적 혼동, 사고의 비논리성

필압

에너지의 수준
일반적 필압: 강 또는 약의 유연한 필압 사용, 필압이 변한 경우 융통성, 적응능력

- 필압의 계속적인 변화: 낮은 안정감

- 강한 필압: 공격성, 독단성, 자기주장적, 긴장감

- 약한 필압: 위축감, 두려움, 우유부단, 자기억제, 우울증

그림의
세부묘사

일상생활에서 실제적인 면을 의식하고 처리하는 능력

- 생략된 세부묘사: 위축감, 우울성향, 공허감, 에너지 수준의 저하

- 과도한 세부묘사: 강박성, 자기억제 성향, 주지화 성향

- 부적절한 세부묘사: 내적인 불안감, 위축감, 부적절감

 

그림의
대칭성

- 대칭성 결여: 불안정성, 신체적 부적응감, 정신병적 상태, 뇌기능 장애-
- 대칭성 강조: 지나친 억압, 경직성, 강박성, 충동성, 융통성 결여, 편집증적 성향

그림의
왜곡
,생략

- 왜곡 및 생략: 불안감, 내적 갈등
- 극단적 왜곡: 현실 검증력 장애, 부정적 자기개념 반영, 정신증, 뇌손상 또는 정신지체

동적,정적
움직임

움직임의 표현이 지나치지 않으면 내적 유능성 반영

- 경직된 모습
: 우울감, 위축감, 정신병적 상태
-
극단적 움직임: ADHD, 경계선 성격장애

절단

용지 하단에서 절단: 강한 충동성 또는 충동성 억제
용지 상단에서 절단: 주지화 성향, 지적인 면에서의 강한 성취욕구
용지 왼쪽에서의 절단: 의존성, 강박성, 과거에의 고착, 감정의 솔직한 표현
용지 오른쪽에서의 절단: 행동에 대한 통제, 미래로의 도피욕구, 감정 표현에의 두려움

음영

불안 또는 갈등 수준

- 진한 음영: 불안 및 강박에 의한 우울감, 미숙한 정신 상태로의 퇴행

- 연한 음영: 대인관계에서의 과민성

지우기

- 빈번한 지우기: 내면의 불확실감, 내적 갈등, 불안정, 자신에 대한 불만

- 지운 후의 그림의 개선 여부: 그림 향상(적응적인 상태), 향상되지 않음(그림을 그린 대상이나 그것이 상징하는 대상화 관련한 정서적 갈등 경험)

종이
돌리기

- 반항성, 부정적 경향성, 지나칠 경우 내적 부적절감
- 시각, 운동 협응력의 어려움이 있을 때 자주 돌리는 경향이 있음

투시화
(투명성)

- 판단력 결함, 성격 통합 상실, 현실검증 장애, 병적 징조
- 6세 미만의 아동에게는 흔히 나타남, 정신지체에서 많이 나타남

 

내용적 해석

 

< 집 >

대인관계에 대한 태, 환경과의 직접적 접촉의 성질 및 상호작용 정도

-
문이 없는 경우: 가족간 거리감, 고독감, 타인과 접촉하지 않으려는 성향
-측면에 그려진 경우: 신중성, 현실도피 성향
-활짝 연린 경우: 온정을 느끼고 싶은 욕망
-문이 집에 비해 작은 경우: 사회성결핍, 무력감, 현실도피 성향
-문에 잠금장치를 강조한 경우: 방어적 성향, 의심증, 망상증

창문

환경과의 간접적 접촉의 성질 및 상호작용의 정도, 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스스로 느끼는 감정

-창문이 없는 경우: 대인관계 곤란, 관계 또는 환경에서의 철회, 편집증적 경향성

-창문이 많은 경우: 타인과 친밀해지고 싶은 욕망

-창문, 문이 모두 없는 경우: 정신분열

지붕

생활의 환상적 영역, 공상적 활동, 자신에 대한 관념

-지붕이 큰 경우: 환상, 공상에 몰두, 대인관계에 무관심

-지붕과 벽을 함께 그린 경우: 심한 환상적, 공상적 사고, 정신분열

-지붕이 없는 경우: 심한 위축성, 정신지체

-지붕이 파괴되거나 금이 간 경우: 억압된 자기통제력

굴뚝

가족 내 관계, 애정욕구, 성적 만족감

-굴뚝에서 연기나는 경우: 가정 내 갈등, 애정욕구 결핍
-굴뚝이 없는 경우: 정적인 가족 내 분위기

자아 강도 및 통제력

-연결이 부적절한 벽: 일차적 욕구에 대한 집착, 자아 상실감

-허물어질 듯한 벽: 자아의 붕괴

-벽면이 깨끗한 경우: 우울증, 현실도피 성향, 대인관계 결핍

-벽에 방의 내부를 그린 경우: 정신지체, 정신분열

-방의 한쪽 면과 다른 쪽 면이 어긋난 경우: 이중인격, 해리성 장애

부수적 사물

- , 나무, 수풀: 의존욕구
- 구름, 그림자: 불안감

 

<나무> 신체성, 자기개념 등의 성격의 핵심적 측면이 반영, 무의식적인 핵심 감정

뿌리

안정성 여부, 현실과의 접촉 수준

-뿌리 강조: 불안정 및 그에 대한 과도한 보상
-뿌리가 없는 경우: 현실에서의 불안정감

-뿌리 없이 땅을 그린 경우: 내적 자기에의 단절감, 약간의 안정감 수준

기둥

자아강도, 내면의 힘

-크거나 높은 경우: 자아 강도 부족 및 그에 대한 과도한 보상

-기둥이 빈약한 경우: 위축감, 무력감

-기둥이 기울어진 경우: 외적 요인에 의한 내적 자아 손상 및 압박

-옹이가 있는 경우: 성장 과정상 외상 경험

가지

환경 및 타인과의 접촉 성향, 수검자의 자원

-작은 기둥에 큰 가지: 과도한 성취성향
-큰 기둥에 작은 가지 : 성취좌절, 부적절감

-가지가 없는 경우: 대인관계 위축, 우울감
-가지의 열매가 떨어진 경우: 대인관계 실패, 정서적 어려움

외계, 장식, 활력 수준

- 잎이 가지에 비해 작은 경우: 정신적 퇴행
- 잎이 가지에 비해 큰 경우: 정열, 과도한 욕구

- 잎이 직선적인 경우: 분리적 성격, 순응에 어려움
- 잎이 둥그런 경우: 사교성, 명랑한 성격

기타

- 버드나무 그린 경우: 우울한 정서 반영
- 사과나무 그린 경우: 애정 욕구
- 열쇠구멍 나무: 저항적, 부정적 태도, 방어적 태도, 우울, 위축
- 나무의 나이: 피검자의 심리적 정서적, 성격적 성숙 정도의 지표
: 자신보다 어린 나무=미성숙한 상태
:
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나무=내적 미성숙함 부인 또는 과시적 태도를 통한 보상

 

<사람>

머리

인지 능력 및 지적 능력, 공상활동에 대한 정보

- 크게 그린 경우: 지적욕망, 자아 확장
- 작게 그린 경우: 지적 부적절감, 열등감, 강박적 성향

- 머리가 없는 경우: 불쾌한 생각의 제거 욕망
- 머리가 뒤를 보는 경우: 정신분열, 현실도피

- 머리가 옆을 보는 경우: 공상, 환각

얼굴

사회적 관계

-: 기본적 성향 및 현재 기분
-: 성적 상징, 외모에 대한 태도, 타인과 관계형성

-: 심리적 성향, 타인과 의사소통
-: 정서자극에 대한 반응

-: 공격성, 자기 주장적 성향
-: 지적 영역, 충동적 성향, 자기 통제력
-얼굴이 희미하거나 생략: 대인관계 갈등에 대한 회피, 사회적 관계로부터 철회

-이목구비를 가장 나중에 그린 그림: 정서적 관여에 직면하는 것에 대한 저항, 무능과 관련된 부적응

몸통

-어깨: 책임성, 책임수행 능력
-가슴: 남자(힘과 능력), 여자(성적 성숙, 애정욕구)
-허리: 성적 행동, 성충동
-엉덩이: 성적 발달 미숙

팔다리

-: 현실에서의 욕구충족 방식
-다리: 목표를 위한 행동, 위험으로부터의 도피
-: 사회적 교류, 환경에 대한 통제 능력
-: 독립성 대 의존성

전체
윤곽선

자기통합 정보 제공

-막대기 모양의 사람 그림: 자기 부적절감, 불안정감, 적대적, 거부적 태도, 신경증, 정신지체 가능성

-윤곽만 그린 그림: 회피, 위축감, 자기 성취감 부족, 우울장애, 정신지체, 신경학적 장애, 사고장애 가능성

 

 

* 출처 <청소년상담사 2급 한권으로 끝내기/ 시대고시 기획>, <청소년상담사 2급 이론서 / 나눔씨패스>, <청소년상담사 2급 / 양서원>

'심리상담 > 심리검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벤더 게슈탈트 검사 (BGT; Bender Gestalt Test)  (0) 2020.11.24
문장완성검사 (SCT)  (0) 2020.11.22
투사적 검사  (0) 2020.11.17
주제통각검사 (TAT)  (0) 2020.11.16
로샤 검사 (Rorschach Test)  (0) 2020.11.14
Comments